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출시 : 청년 내 집 마련의 새로운 길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출시 : 청년 내 집 마련의 새로운 길
국토교통부는 2023년 11월 24일 발표된 ‘청년 내집 마련 1·2·3’ 정책의 후속 조치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을 2024년 2월 21일 출시합니다. 이 통장은 청년층의 자산 형성과 주택 마련을 돕기 위해 기존 청년우대형 청약저축을 대폭 개편해 새롭게 선보이는 상품다.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의 주요 특징
-
가입 대상: 만 19~34세 이하의 연 소득 5,000만 원 이하 무주택자
-
납입 한도: 월 최대 100만 원
-
목돈 활용: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의 일시납 가능
혜택 및 세제 지원
-
금리: 최고 연 4.5%
-
소득공제: 납입금액의 40%까지 소득공제
-
비과세 혜택: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비과세 (근로소득 3,600만 원, 종합소득 2,600만 원 이하)
연계 혜택
-
저금리 대출: 청약 당첨 시 분양대금의 최대 80%를 2%대 금리로 대출 지원하는 ‘청년주택드림대출’ 제공 예정 (2024년 12월 발표)
-
중도 인출: 분양 계약금 납부를 위한 중도 인출 허용
가입 방법 및 절차
2월 21일부터 우리은행, 국민은행, 농협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기업은행, 부산은행, 대구은행, 경남은행 지점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 출시와 함께 다양한 가입 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입니다.
기존 가입자 전환
-
기존 청년우대형 청약저축 가입자는 자동 전환
-
일반 청약저축 가입자는 은행 방문 후 조건 확인을 통해 전환 가능 (당첨 계좌 제외)
군 복무 중인 현역 장병
-
가입자격확인서 또는 군복무 확인서 지참 후 인근 은행 방문으로 가입 가능
-
상반기 내 스마트폰으로 간편 가입 시스템 도입 예정
가입 요건 및 확인 서류
-
무주택 여부: 가입 시 무주택확약서, 해지 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등
-
연령: 신분증
-
소득: 소득확인증명서, 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등
자주 묻는 질문 (FAQ)
1. 인터넷이나 모바일 가입이 가능한가요?
상반기 내 인터넷 뱅킹 및 모바일 가입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입니다.
2.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어떻게 전환하나요?
자동 전환되며, 일반 청약저축 가입자는 은행 방문 후 조건 확인 후 전환 가능합니다.
3.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?
근로소득 3,600만 원 이하, 사업소득 2,600만 원 이하 조건 충족 시 무주택확인서 제출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4. 청년주택드림대출 신청 조건은?
청약 당첨 후 소유권 이전 등기접수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 가능하며, 가입 기간이 1년 이상이고 납부 실적이 1,000만 원 이상이어야 합니다.
5.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 수령액으로 일시 납입이 가능한가요?
해지 증빙 서류를 지참해 해지일로부터 3개월 이내 은행 방문으로 일시 납부가 가능합니다.
댓글 쓰기